- Global Business Briefing
- Posts
- 트럼프-푸틴 내일 휴전 협상 l 중국 경제 지표 호조 ᅵ 연준, BOJ, BOE 이번주 금리 발표
트럼프-푸틴 내일 휴전 협상 l 중국 경제 지표 호조 ᅵ 연준, BOJ, BOE 이번주 금리 발표
📅 월요일 3월 17일 2025 🌍 Global Business Briefing

📌 오늘 알아야 할 핵심 이슈
1️⃣ 트럼프 대통령,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19일(화)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30일 휴전 논의 통화 예정 🕊️
2️⃣ 트럼프 행정부, 유럽 및 캐나다에 4월 2일부터 품목별로 최대 25%의 상호주의 관세 부과 📦
3️⃣ 월가 전략가들, S&P 500 목표치를 경기 둔화 우려로 기존 6,500에서 6,200으로 하향 조정 📈
4️⃣ 중국 경제, 1~2월 산업생산(4.6%), 소매판매(5.5%) 증가로 내수 부양책 추가 준비 🇨🇳
5️⃣ State Street 및 Charles Schwab 전문가들, 미국 펀더멘탈 우수해 경기 침체 가능성 낮게 평가 💡
6️⃣ 홍해 후티 반군 위협으로 유가(브렌트유 배럴당 약 $81) 1% 상승, 지정학적 긴장감 지속 ⚓
7️⃣ Forever 21 두 번째 파산 신청, 미국 내 모든 매장 철수 및 브랜드 매각 절차 돌입 💸
8️⃣ 미국 연준(Fed)·일본은행(BOJ) 20일(수), 영국은행(BOE) 21일(목) 각각 금리 결정 발표 예정 🏦
9️⃣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기대감에 주가 프리마켓에서 약 2% 상승 🤖
🔟 테슬라 주가 프리마켓에서 1.7% 하락, 기술주 약세 지속 🚗

📝 상세 분석
📞 트럼프-푸틴 휴전 협상 통화 예정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화)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의 30일 휴전안을 논의할 예정.
러시아는 기존에 단기 휴전 제안을 수차례 거부하며 장기적 합의만이 의미 있다고 주장해 왔으며, 이번 통화에서도 우크라이나 무장해제 및 NATO의 군사 지원 중단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음.
장기 전망 및 의의: 미국과 러시아 간 이견으로 합의 가능성은 낮아 보이나, 만약 휴전이 합의될 경우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완화와 유럽 에너지 시장 안정화에 즉각적 긍정 효과가 예상됨.
📦 미국, 유럽 및 캐나다에 관세 부과 예정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부터 유럽과 캐나다 수입품에 대해 품목별 최대 25%의 상호주의 관세 부과 예정.
자동차, 농산물, 산업기계 등 주요 품목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 EU와 캐나다의 보복 관세 부과 가능성 제기.
장기 전망 및 의의: 관세 전쟁 확대 시 글로벌 교역 위축 및 공급망 교란이 불가피하며, 장기적으로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을 높여 소비자 부담 증가와 Fed의 통화정책 대응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 있음.
📈 美 증시 하락과 목표치 하향 조정
최근 미국 증시는 5주 연속 하락, S&P 500 목표치는 월가 전략가들(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의 경기 둔화 우려로 기존 6,500에서 6,200으로 하향 조정.
10년물 미 국채금리는 최근 4.2%로 급등(2022년 11월 이후 최고치)하며 채권시장 불안정성 가중.
장기 전망 및 의의: 이번 증시 하락은 경기 침체를 예고하는 것보다는 정상적 조정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나, 추가 금리 인상 또는 인플레이션 지표 악화 시 경기침체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어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 필요.
🇨🇳 중국 경제지표 호조
올해 1~2월 중국 산업생산 증가율(4.6%), 소매판매 증가율(5.5%) 등 경제지표가 모두 예상치를 상회하며 경기회복세 확인.
중국 정부는 내수 중심 경제전환을 위해 아동수당 지급, 가계소득 지원 확대, 소비세 인하 등 다양한 소비 촉진책을 구상하고 있으나, 구체적 시행안은 미확정 상태.
장기 전망 및 의의: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내수진작책 발표가 이뤄지면 아시아와 글로벌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 기대. 그러나 정책이 미흡하거나 늦어질 경우 중국 경기 둔화 리스크가 다시 부각될 가능성.

💡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 낮아 (전문가 인용)
State Street의 Marija Veitmane는 "증시 하락이 건강한 조정이며 기업 이익 전망(2024년 약 7~9% 성장 예상)은 여전히 견고"하다고 평가.
Charles Schwab의 Kathy Jones는 "미국 고용시장(실업률 3.7%)과 소비지출 강세가 지속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안정적(2.9%)으로 유지되어 올해 내 경기 침체 확률이 낮다"고 강조.
장기 전망 및 의의: 미국 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탈이 Fed의 금리정책 결정과 글로벌 투자 심리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장기적인 투자 매력도 유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
⚓ 홍해 긴장으로 유가 상승
최근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는 미군 함정과 드론을 공격하면서 지역 내 지정학적 긴장감 고조,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약 $81 수준으로 1% 상승.
특히 미국은 이번 사태 배후로 후티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을 직접 지목, 미국 국방부는 이란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발신하며, 후티 반군 공격이 지속될 경우 이란군 관련 시설 타격 가능성까지 언급해 상황이 급속히 악화할 가능성 제기.
장기 전망: 홍해 지역 긴장이 미-이란 간 군사적 충돌로 확대될 경우 유가는 단기적 급등(배럴당 $90 이상) 가능성 높아지며, 중장기적으로는 원유 공급 불확실성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성장 전망을 위축시킬 수 있음.

💸 Forever 21 두 번째 파산
Forever 21, 지속된 판매 부진으로 두 번째 파산 신청. 미국 리테일 시장 전반의 심각한 내수 부진 및 소비자 구매력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
최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감소했으며, 의류 및 생활용품과 같은 비필수 소비재(retail discretionary)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평균 6~8% 감소하는 등 미국 전역의 리테일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
Forever 21의 파산은 특히 오프라인 매장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이 급변하는 소비 트렌드(온라인 중심 소비, 패스트패션 퇴조, 환경적 지속가능성 중시 등)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 평가.
🏦 주요국 중앙은행 금리 결정 주간
미국 연준(Fed)과 일본은행(BOJ)은 20일(수), 영국은행(BOE)은 21일(목)에 금리 결정 예정이며, 시장의 가장 큰 관심사는 Fed의 금리 향방.
미국은 경제 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금융 불안정성과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이라는 상충된 요인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
장기 전망 및 의의: 이번 주요국 금리 결정에서 긴축 지속 여부 또는 금리 인하 신호 여부가 발표될 경우 글로벌 환율 및 자산시장 변동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투자자들의 포지셔닝 조정이 예상됨.
🤖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기대감
엔비디아는 이번 주 예정된 연례 AI 컨퍼런스에서 차세대 GPU 아키텍처 발표 및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기술 로드맵 공개 계획.
특히 생성형 AI와 챗GPT 대응 가속화 제품을 공개하며 구글·아마존과의 경쟁력 강화 시사.
의의: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의 신규 AI 제품 출시와 기술 로드맵이 중장기 성장성을 높여 줄 중요한 모멘텀으로 평가.

🚗 테슬라 프리마켓 1.7% 하락
테슬라의 주가 하락(프리마켓 -1.7%)은 기술주 전반의 투자심리 악화뿐 아니라, 최근 일론 머스크 CEO가 발표한 ‘2026년 화성 스타십 프로젝트’ 및 로봇(옵티머스 로봇) 등 대규모 장기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 때문.
투자자들은 장기 프로젝트의 높은 자본지출(CAPEX) 부담과 단기 수익성 악화를 우려해 주식 매도에 나섬.
의의: 테슬라의 주가는 앞으로 투자자들이 바라보는 장기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과, 단기적인 전기차 판매 실적 및 수익성 개선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변동 가능성이 높음.

🆚 하나의 이슈, 두개의 관점
최근 미국 경제는 소비와 고용지표 호조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기대 상승 등 불안요소 존재. 20일(수) Fed의 금리 결정에서 두 가지 관점이 존재:
🔵 관점① 금리 동결
전문가 의견: 모건스탠리의 Ellen Zentner는 “고용(실업률 3.7%)과 소비(물가상승률 2.9%)가 견고해 Fed가 5.25~5.50%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 예상.
근거: 경제지표가 강해 인하 압력 미미.
전망: 향후 데이터를 더 관찰한 뒤 결정 전망.
🔴 관점② 금리 인하 신호 제시
전문가 의견: 골드만삭스의 Jan Hatzius는 “은행 불안정성과 미시간대 소비자 기대 인플레이션(3.5%) 급등으로 Fed가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 신호를 제시할 가능성”을 강조.
근거: 금융시장 변동성 증가로 경기 하방 압력 확대.
전망: Fed가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전망: 경제 둔화 대비 차원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으로의 전환 신호 제시 가능성

🔑 오늘의 키워드 : Unrelenting (끊임없는, 가차없는)
의미와 맥락:
Unrelenting은 '어떠한 강력한 행동이나 사건이 끊임없이 지속되거나 약해지지 않는' 상황을 묘사하는 단어.
Bloomberg 브리핑에서 미군이 후티 반군에 대한 군사 공격을 언급하며 "unrelenting strikes"(가차없는 공격)라는 표현을 사용함. 이는 공격의 강도와 지속성을 강조한 표현임.
투자자에게 중요한 이유:
이 표현은 보통 시장의 리스크 요소(군사적 충돌, 무역 분쟁, 정치적 압박)가 지속적으로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때 자주 사용됨.
금융시장에서는 Unrelenting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면 단기간에 해소되지 않을 지속적인 리스크로 받아들여져 투자자들이 리스크 관리나 포트폴리오 조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

🔤 오늘의 비즈니스 영어
표현: "Investors are beginning to unwind their positions."
(투자자들이 보유한 포지션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의미 설명:
unwind는 원래 '감긴 것을 풀다'라는 뜻에서 출발한 표현이며, 금융시장에서는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산을 팔아 포지션을 줄이거나 철수하는 행위'를 나타냄.
활용도가 높은 예시 예문:
"Many hedge funds are unwinding their risky positions amid increasing market volatility."
(많은 헤지펀드들이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위험 자산을 정리하고 있다.)"Institutional investors began to unwind their bets on European banks last week."
(기관투자자들은 지난주부터 유럽 은행에 대한 투자 포지션을 축소하기 시작했다.)"Due to unexpected geopolitical tensions, traders are rapidly unwinding their oil futures contracts."
(예상치 못한 지정학적 긴장감으로 인해 거래자들이 원유 선물 계약 포지션을 급속히 정리하고 있다.)
이 표현은 시장 상황이 악화되어 투자자들이 위험 회피를 시작했을 때 자주 사용되는 매우 유용한 금융 용어.

🔥 시장 전망 & 체크 포인트
1️⃣ 미국 연준(Fed)의 통화정책 방향성
20일(수) Fed의 금리 결정은 올해 통화정책 방향성을 좌우하는 핵심 이벤트.
금리 동결 또는 향후 인하 신호 여부에 따라 미국 국채금리 및 달러 가치 급변 가능성.
투자자들은 Fed의 성명서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내용에 촉각.
2️⃣ 글로벌 무역 갈등 확대 여부
4월 2일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캐나다에 상호주의 관세(최대 25%)를 부과하면 글로벌 무역갈등 재점화 가능성.
무역갈등 확산 시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 및 주가 하방 압력 가속 전망.
글로벌 공급망 및 원자재 가격 변동성 증가 가능성 체크 필요.
3️⃣ 중국의 추가적인 내수 부양책 발표 여부
최근 중국 소매판매(5.5%)·산업생산(4.6%) 증가로 경제 회복 기대감 상승.
중국 정부의 자녀 보조금 지급 및 소득지원 확대 등 추가 부양책 발표가 시장 투자심리에 긍정적 영향.
구체적 정책 발표 시 중국 내수주 및 글로벌 소비재 기업 수혜 예상.

📅 이번주 주요 일정 (한국 시간 기준)
📊 3월 19일 (화) 오후 9시 30분: 美 소매판매 발표
🏦 3월 21일 (목) 새벽 3시: FOMC 금리 결정
🌸 3월 21일 (목) 오전 11시: 일본은행 금리 결정
💷 3월 21일 (목) 오후 9시: 영국은행 금리 결정
🤖 3월 22일 (금):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개최
🔖 주요 해시태그
#FOMC #금리결정 #트럼프푸틴 #중국경제 #Forever21 #유가상승 #엔비디아 #테슬라 #관세전쟁 #시장전망
Reply